분할된 화면으로 제 4회 다문화축제를 그려낸 이 동영상 작업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외국인 노동자 혹은 이주노동자 등으로 부르는 호칭에 대한 고민과 질문을 담고 있다. 나 자신이 이루고 있는 가족환경이 다문화 가정이라는 호칭으로 분류되기 시작한 지점에서 변화는 영어권과 백인과의 결혼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 아시아 유색인종이 결합한 다문화 가정 혹은 노동자 계층의 이미지와 호칭은 차별과 모순을 내포하면서 강화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한국의 압축적 근대화 과정에서 요구되었던 단일민족신화가 견고히 자리잡은 당연한 결과이다. 이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화의 구조와 흐름 속에서 호칭으로 나타나는 차별의 문제는 압축적 시간 속에서 선도되고 해결해야 하는 노력들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기획들 가운데 하나인 이 다문화 축제의 시장 공간을 디자인하게 되면서 접하게 된 축제의 역사와 명칭의 변천은, 기획위원들의 정부와 노동자들 사이에서의 갈등과 고민을 보면서 이 동영상의 사운드와 이미지를 다루는 방식에 모티브가 되었다. 공영방송들의 다큐방식과 달리 인터뷰를 지양했으며 동정과 연민에 호소하지 않고 선동과 대상화를 피하면서 상상하는 지점에 도달하는 기회를 만들고자 했다. 이 동영상의 음악은 현장에서 채취된 소리를 바탕으로 리믹스하면서 만들어진 사운드이다. 이러한 시도는 타자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사실이 무언가를 포기하게 만들기보다는 상상력으로 이끄는 힘을 믿기 때문이며 소통은 낯설음을 긍정적으로 통과시킬때 발생하는 창조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This film featuring a multicultural festival “The 4th Migrants Arirang Festival” on a divided screen considers and asks about the common appellations such as a foreign worker or an immigrant worker. By the time when my own family environment began to be classified under the title of multicultural family,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images and appellations of two kinds of families of mixed marriages also began to be reinforced, engendering contradictions and inequalities: marriages with white Anglophones, and those with working-class, Asian colored races. This i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solidification of the Korean myth of a homogeneous nation that has been required in the rapid process of Korean modernization. However, nowadays, the issue of discrimination in terms of appellation, which is foun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many of the structures and streams of globalization, is being treated both seriously and practically. “The 4th Migrants Arirang Festival” is one of these practices and projects to solve the issue, and I could participate in designing the event’s market place. The history and the change of the name of the festival, as well as the agonies and conflicts occurring between the members of the government’s planning committee and workers that I witnessed, inspired me how to deal with the sounds and images of this film. Unlike other public broadcasting documentaries, I avoided interviews, the appeal to sympathy and emotion, instigation and objectification, but tried to create a chance where imagination is delivered. The music was a remix of the sound recorded on the spot. Above all things, all these are because I believe the fact that you are not well acquainted with others would lead you to imagine rather than give up something, and that mutual understanding is a creative activity produced when you pass through the unfamiliarity in a positive way.
임민욱은 다양한 장르와 매체의 경계를 뛰어넘는 작업을 해왔다. 유동적이고 연약한 물질, 흘러가다가 사라지는 사운드, 사실과 허구를 오가는 영상, 신체와 목소리의 집합으로 완성되는 퍼포먼스, 그리고 전혀 다른 매체가 서로를 번역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그는 작업을 통해 감각적인 것의 재분배를 시도하면서 잊혀지고 감추어진 목소리와 형상들을 다채롭게 드러낸다.
임민욱은 같은 주제의 작업을 오랜 시간 지속하기도 한다. 작업 캡션의 제작 연도가 계속해서 갱신되는 경우도 많다. 같은 대상을 재구성하거나, 통합되어 있던 것의 일부를 독립된 존재로 번역하는 방법론은 임민욱이 역사를 다루는 방식과 연결된 것처럼 보인다. 그는 역사를 비선형적으로 탐구하면서 기억과 망각의 징후를 특유의 방법론으로 다룬다.
작가는 작업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공동체의 문제를 다루어 왔지만, 특이하게도 공동체의 단일성 보다는 내부의 불화나 공동의 부재에 도리어 주목해왔다. 기억이 누락된 자들의 공동체, 공통된 것을 가지지 않았기에 오히려 연결된 존재들을 생각한다. 그렇기에 임민욱의 작업은 커뮤니티나 관객 참여라는 순진하고 평면적인 형식적 문법을 따를 수 없다. 그는 오히려 비인간 목격자의 존재를 상상하거나, 행위성을 지닌 사물들의 연결 속에서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잊혀진 것들을 불러일으킨다. 임민욱은 그렇게 예술과 정치, 과거와 현재, 개인과 공동체, 다큐멘터리와 픽션, 파괴와 구축, 주체와 타자, 인간과 사물 같은 이분법들을 계속해서 가로질러 나가고 있다.
작성/편집: 권태현
Minouk Lim (b. 1968) is an artist of many forms and has been creating works that are beyond the boundary of different genres and media, deepening the scope of questions while encompassing writing, music, video,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s her modes of artistic expression. Lim's practice recalls historic losses, ruptures, and repressed traumas. Rooted in language, and specifically, the politics of expression, her work does not replay past events, rather, they elevate the experiences, memories, and feelings through the means of imagining or engaging structural beings of non-human witnesses in her performative sculptural objects and installations.
Among the numerous works created by Lim, New Town Ghost (2005), S.O.S.-Adoptive Dissensus (2009) and Portable Keeper (2009-present) are video pieces created out of performances held in non-institutional, transient sites. In the meantime, The Weight of Hands (2010) and the FireCliff series (2010-present) deliver moving images that are mediated through the lens of an infrared camera. Navigation ID was invited to the 10th Gwangju Biennale as an press opening performance and an installation in the exhibition.
Lim’s major solo exhibitions include The Promise of If at PLATEAU Samsung Museum of Art, Seoul(2015), United Paradox at Portikus, Frankfurt(2015), Heat of Shadow at the Walker Art Center, Minneapolis (2012) and Jump Cut in Artsonje Center, Seoul (2008). Since 2010, starting at Madrid, Lim has been presenting a series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FireCliff. Lim also participated in a number of group exhibitions and biennials including the Setouchi Triennale(2016) Sydney and Taipei Biennial 2016, Paris Triennale 2012, Liverpool Biennial (2010), Political populism (Kunsthalle Wien 2015), The Time of Others (Museum of Tokyo, 2010) and Your Bright Future: 12 Contemporary Artists from Korea (LACMA, 2009-2010).
Lim’s works are collecte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Korea; Gyeonggi Museum of Art; Seoul City Art Museum; ArtSonje Center, Korea; Kadist Art Foundation, San Francisco; Walker Art Center; Tate Modern; and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